NPB 타격 데이터 분석 및 용어

NPB 타격 데이터 및 용어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NPB 타격은 몇가지로 나누어서 세부적인 데이터를 모았습니다. 세이버메트릭스로 분석하시기에 좋을 것입니다.

야구 데이터
KBO 한국 프로 야구 세이버메트릭스 데이터
NPB 일본 프로 야구 세이버메트릭스 데이터
NPB 투구 수비 데이터 및 용어
NPB 투수 개인 랭킹 및 기록

아래의 목차를 이용하여 빠르게 이동하여 확인하세요.

※ 데이터 로딩에 조금 시간이 걸릴 수가 있어요. 기다려주세요.

▲표하단의 오른쪽 화살표를 이용해 여러 Sheet를 확인하세요.

1. NPB 타격 dashboard 데이터 용어

  1. PA (Plate Appearances, 타석 수): 타자가 공식적으로 타석에 들어선 횟수입니다. 볼넷, 삼진, 안타 등 결과에 상관없이 계산됩니다.
  2. HR (Home Runs, 홈런): 타자가 친 홈런의 수입니다.
  3. R (Runs, 득점): 타자가 득점한 횟수입니다.
  4. RBI (Runs Batted In, 타점): 타자가 타격으로 인해 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인 횟수입니다.
  5. SB (Stolen Bases, 도루): 타자가 성공적으로 도루한 횟수입니다.
  6. BB% (Walk Percentage, 볼넷율): 타자가 볼넷을 얻은 비율입니다.
  7. K% (Strikeout Percentage, 삼진율): 타자가 삼진 아웃된 비율입니다.
  8. ISO (Isolated Power, 장타율): 타자의 순수한 장타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단타를 제외한 추가 베이스 히트(2루타, 3루타, 홈런)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9. BABIP (Batting Average on Balls in Play, 인플레이 타율): 타자가 타구를 인플레이(수비수가 처리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타구)로 만들었을 때의 안타율입니다.
  10. AVG (Batting Average, 타율): 타자가 친 안타의 비율입니다.
  11. OBP (On-Base Percentage, 출루율): 타자가 출루한 비율을 나타냅니다.
  12. SLG (Slugging Percentage, 장타율): 타자가 친 모든 베이스 히트를 합산하여 타석 수로 나눈 비율입니다. 장타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13. wOBA (Weighted On-Base Average, 가중 출루율): 안타, 볼넷, 장타 등 각 종류의 출루가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가중치를 두어 계산한 출루율입니다.
  14. wRC+ (Weighted Runs Created Plus, 조정된 득점 기여도): 리그 평균과 구장 효과를 조정하여 타자가 만들어낸 득점 기여도를 100을 기준으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100 이상이면 리그 평균보다 뛰어난 성적을 의미합니다.
  15. BsR (Base Running, 주루 가치): 타자의 주루 능력이 팀 득점에 기여한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입니다.
  16. Offence (공격 가치): 타자의 공격 기여도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여러 타격 지표를 통합한 수치입니다.
  17. Defense (수비 가치): 타자(혹은 수비수)의 수비 기여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주로 포지션별 수비 스킬과 플레이 수행 능력에 기반합니다.
  18. WAR (Wins Above Replacement, 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 이미 설명드린 바와 같이, 타자가 대체 수준의 선수보다 얼마나 더 많은 승리에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AVG, OBP, SLG, wOBA 등의 지표는 타자의 타격 성과와 출루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히 wOBA와 wRC+는 각 출루의 가치를 다르게 반영하여 타자의 실제 공격력을 보다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HR, ISO, R, RBI는 타자의 장타력과 득점 기여도를 보여줍니다. 장타력은 팀의 득점 생산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장타 지표는 타자의 파워와 경기 내 영향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합니다.

BB%와 OBP는 타자가 얼마나 자주 출루하는지를 보여주며, K%는 삼진을 얼마나 피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타자의 선구안과 투구 선택 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SBBsR은 타자의 주루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단순히 도루 수뿐 아니라, 주자가 다른 베이스로 이동하면서 팀의 득점 기회에 기여한 정도를 반영합니다.

BABIP는 타자의 운과 타구의 질을 분석할 때 사용됩니다. 높거나 낮은 BABIP는 타자의 성과가 운에 크게 의존하는지, 혹은 실력이 뒷받침되는지를 보여줍니다.

WAR는 타자가 팀에 얼마나 많은 승리 기여를 했는지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타격, 주루, 수비를 모두 고려하며, 타자의 전반적인 가치를 한눈에 보여줍니다.

Defense는 타자의 수비 기여도를 나타내며, 팀 수비 전략과 포지션별 수비 기여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수비 지표는 팀의 전반적인 수비력을 강화하고 최적의 수비 배치를 위한 데이터로 활용됩니다.

OffenceDefense를 비교하여 타자의 공격과 수비 성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팀은 타자를 공격형 또는 수비형 선수로 판단하고, 적절한 포지셔닝과 역할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2. NPB 타격 standard 데이터 용어

  1. G (Games): 선수가 참여한 경기 수입니다.
  2. PA (Plate Appearances): 타석에 들어선 횟수입니다. 타수, 볼넷, 희생 플라이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3. AB (At Bats): 실제로 타격을 시도한 횟수입니다. 볼넷, 희생타, 몸에 맞는 볼은 제외됩니다.
  4. H (Hits): 성공적으로 안타를 친 횟수입니다.
  5. 1B (Singles): 1루타의 수입니다.
  6. 2B (Doubles): 2루타의 수입니다.
  7. 3B (Triples): 3루타의 수입니다.
  8. HR (Home Runs): 홈런의 수입니다.
  9. R (Runs): 득점한 횟수입니다.
  10. RBI (Runs Batted In): 타점입니다. 타자의 타격으로 홈을 밟아 득점이 된 경우의 수를 말합니다.
  11. BB (Base on Balls): 볼넷입니다. 투수가 4구까지 공을 던졌을 때 타자가 1루로 가는 것을 말합니다.
  12. IBB (Intentional Base on Balls): 고의적 볼넷입니다. 상대 팀이 의도적으로 타자를 거르는 경우입니다.
  13. SO (Strikeouts): 삼진입니다. 타자가 삼진아웃된 횟수를 나타냅니다.
  14. HBP (Hit By Pitch): 몸에 맞는 볼입니다. 투수가 던진 공이 타자의 몸에 맞아 1루로 진루하는 경우입니다.
  15. SH (Sacrifice Hits): 희생타입니다. 희생번트를 포함하여 자신의 아웃을 희생하여 주자를 진루시키는 경우입니다.
  16. SF (Sacrifice Flies): 희생 플라이입니다. 타자가 뜬공을 쳐 아웃되지만, 그 사이에 주자가 득점하는 경우입니다.
  17. GDP (Ground into Double Plays): 병살타입니다. 한 번의 타격으로 두 명의 주자가 아웃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18. SB (Stolen Bases): 도루 성공 횟수입니다.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무사히 진루하는 경우입니다.
  19. CS (Caught Stealing): 도루 실패 횟수입니다. 주자가 도루를 시도했으나 아웃된 경우입니다.
  20. AVG (Batting Average): 타율입니다. 안타 수를 타수로 나눈 값으로, 타자의 타격 능력을 나타냅니다. (H / AB)

H, HR, RBI 등의 지표는 타자가 경기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안타를 치고, 득점을 만들어내고, 홈런을 생산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는 타자의 타격 능력을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AAB는 타자가 얼마나 자주 타석에 들어서는지를 나타내며, AVG는 이 타석에서 얼마나 성공적으로 안타를 기록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타격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B, 2B, 3B, HR 데이터는 타자가 얼마나 다양한 방식으로 장타를 만들어내는지를 나타내며, 이는 장타율(SLG) 등의 추가적인 계산과 연계해 타자의 파워를 평가할 때 사용됩니다.

BB, IBB, HBP 등의 지표는 타자가 얼마나 자주 출루하는지를 분석할 때 사용됩니다. 이 데이터는 출루율(OBP) 계산에 활용되며, 타자의 선구안과 상대 투수와의 심리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SHSF는 타자가 자신의 아웃을 희생하여 팀의 득점이나 주자 진루에 기여하는 정도를 보여줍니다. 이는 팀플레이 성향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SBCS는 타자의 도루 성공과 실패를 나타내며, 주루 능력과 주루의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팀의 공격 전략에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GDP는 타자가 병살타를 얼마나 자주 치는지를 보여줍니다. 병살타는 득점 기회에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타자의 실책 유발 성향을 분석하는 데 유용합니다.

SO 지표는 타자가 얼마나 자주 삼진을 당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는 타자의 컨택 능력과 투구 선택에 대한 성향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RRBI는 타자가 경기에서 득점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팀 득점에 기여하는지를 나타냅니다.

3. NPB 타격 advanced 데이터 용어

  1. PA (Plate Appearances): 타석에 들어선 횟수로, 타자가 경기에서 타격을 시도할 수 있는 모든 기회를 말합니다.
  2. BB% (Walk Percentage): 볼넷 비율로, 타석 대비 볼넷을 얼마나 많이 얻었는지를 나타냅니다. (BB / PA)
  3. K% (Strikeout Percentage): 삼진 비율로, 타석 대비 삼진을 얼마나 많이 당했는지를 나타냅니다. (SO / PA)
  4. BB/K (Walks per Strikeout): 볼넷과 삼진의 비율로, 타자의 투구 선택 능력을 나타냅니다.
  5. AVG (Batting Average): 타율로, 선수의 안타 확률을 나타냅니다. (H / AB)
  6. OBP (On-base Percentage): 출루율로, 타자가 얼마나 자주 출루하는지를 나타냅니다. (H + BB + HBP) / (AB + BB + HBP + SF)
  7. SLG (Slugging Percentage): 장타율로, 타자의 타격으로 인한 베이스 진출률을 나타냅니다. (1B + 22B + 33B + 4*HR) / AB
  8. OPS (On-base Plus Slugging): 출루율과 장타율의 합으로, 타자의 전체적인 타격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OBP + SLG
  9. ISO (Isolated Power): 순수 장타력으로, 단타를 제외한 추가 베이스 획득 능력을 나타냅니다. SLG – AVG
  10. Spd (Speed Score): 주루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로, 도루 성공률, 도루 시도 횟수, 1루에서 3루로 진루하는 능력 등을 반영합니다.
  11. BABIP (Batting Average on Balls In Play): 인플레이된 타구의 안타 확률로, 운 요소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H – HR) / (AB – K – HR + SF)
  12. UBR (Ultimate Base Running): 주자의 베이스 주루 기여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평균적인 주자보다 얼마나 더 좋거나 나쁜 주루 능력을 보였는지 나타냅니다.
  13. wSB (Weighted Stolen Bases): 도루와 관련된 타자의 성능을 평가하는 지표로, 도루 시도의 가치를 측정합니다.
  14. wRC (Weighted Runs Created): 생성된 득점을 가중치로 계산하여, 타자가 만들어낸 득점의 총량을 나타냅니다.
  15. wRAA (Weighted Runs Above Average): 평균적인 선수 대비 추가로 생성된 득점량을 나타냅니다.
  16. wOBA (Weighted On-Base Average): 출루율을 가중치로 조정한 지표로, 타격의 각 요소(단타, 2루타, 3루타, 홈런, 볼넷 등)가 득점에 기여하는 정도를 다르게 반영하여 계산합니다.
  17. wRC+ (Weighted Runs Created Plus): 타자의 공격력을 리그 평균과 파크 팩터를 고려하여 조정한 후 100을 기준으로 표준화한 지표로, 100이 평균 성적이며, 이보다 높을수록 우수합니다.

AVG, OBP, SLG, OPS 등의 지표는 타자의 전반적인 타격 능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각 지표는 타자가 얼마나 자주 안타를 치고, 얼마나 출루하며, 장타력을 얼마나 발휘하는지를 보여줍니다.

OPS는 출루율과 장타율을 결합한 지표로, 타자의 전반적인 공격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ISO는 단타를 제외한 장타력을 측정하여 순수 장타 능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BB%, K%, BB/K는 타자가 투구를 얼마나 잘 보고 선택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높은 볼넷 비율과 낮은 삼진 비율은 좋은 선구안을 의미하며, 타자의 타격 접근 방식을 분석하는 데 중요합니다.

wRC+와 wRAA는 타자의 공격력을 리그 평균과 비교하고, 리그와 파크 팩터를 고려하여 타자의 성과를 표준화해줍니다. 이는 다양한 환경에서 타자의 성과를 공정하게 비교할 수 있게 해줍니다.

Spd, UBR, wSB는 타자의 주루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타자가 단순히 타격만 잘하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효율적으로 베이스를 활용하고 주루 플레이를 펼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BABIP는 타자의 인플레이 타구가 안타로 이어지는 비율로, 운이나 타구의 질을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 지표는 타자의 성과가 일관된 것인지, 아니면 운에 크게 좌우되는지를 분석할 때 사용됩니다.

wOBA는 각 타격의 가치에 가중치를 부여해 타격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로, 단순한 출루율보다 더욱 정확하게 타자의 득점 기여도를 보여줍니다.

wRC는 타자가 만들어낸 총 득점을 보여줍니다. 이는 팀의 득점력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4. NPB 타격 batted ball 데이터

  1. PA (Plate Appearances): 타석 수, 팀이 기록한 총 타석 횟수
  2. BABIP (Batting Average on Balls In Play): 인플레이된 타구에 대한 타율
  3. GB/FB (Ground Ball to Fly Ball Ratio): 땅볼과 뜬공의 비율
  4. LD% (Line Drive Percentage): 라인드라이브 타구 비율
  5. GB% (Ground Ball Percentage): 땅볼 타구 비율
  6. FB% (Fly Ball Percentage): 뜬공 타구 비율
  7. IFFB% (Infield Fly Ball Percentage): 내야 플라이 비율 (팝플라이 비율)
  8. HR/FB (Home Run to Fly Ball Ratio): 홈런/뜬공 비율
  9. IFH (Infield Hits): 내야 안타 수
  10. IFH% (Infield Hit Percentage): 내야 안타 비율
  11. BUH (Bunt Hits): 번트 안타 수
  12. BUH% (Bunt Hit Percentage): 번트 안타 비율
  13. GBOut% (Ground Ball Out Percentage): 땅볼 아웃 비율
  14. OFOut% (Outfield Out Percentage): 외야에서 잡힌 아웃 비율
  15. Pull% (Pull Percentage): 당겨친 타구의 비율
  16. Cent% (Center Percentage): 중앙 방향으로 친 타구의 비율
  17. Oppo% (Opposite Field Percentage): 반대 방향으로 친 타구의 비율
  18. Soft% (Soft Contact Percentage): 약한 타구 비율
  19. Mid% (Medium Contact Percentage): 중간 강도의 타구 비율
  20. Hard% (Hard Contact Percentage): 강한 타구 비율

Pull%, Cent%, Oppo%를 통해 팀이 타구를 주로 어느 방향으로 보내는지 알 수 있으며, 이는 타격 전략과 팀 성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BABIPIFH% 같은 지표를 통해 팀의 인플레이 타구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안타로 이어지는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타율을 넘어선 타격의 질적인 측면을 보여줍니다.

Soft%, Mid%, Hard% 지표는 타격의 강도를 보여줍니다. 팀이 강한 타구를 얼마나 많이 만들어 내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공격력의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HR/FBGB/FB 같은 지표는 팀의 장타 생산력과 타구 유형의 분포를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팀이 홈런 위주의 공격을 하는지, 혹은 땅볼과 안타 중심의 플레이를 선호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BUH와 BUH%를 통해 번트 안타와 그 비율을 알 수 있어, 팀이 전술적으로 번트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용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GBOut%와 OFOut% 지표는 땅볼과 외야 플라이에 의한 아웃 비율을 나타냅니다. 이는 팀의 수비 위치 선정과 내야 및 외야 수비력 평가에 도움을 줍니다.

다양한 지표를 종합하여 팀이 특정 상황에서 타격 패턴을 어떻게 조정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감독의 전술과 팀의 대응 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5. NPB 타격 Win Probability 데이터

  1. PA (Plate Appearances): 타석 수, 팀이 기록한 총 타석 횟수
  2. WPA (Win Probability Added): 승리 확률 기여도, 경기 상황에서 팀이 승리할 확률에 대한 기여도
  3. -WPA (Negative Win Probability Added): 경기 중 팀이 잃은 승리 확률의 총합
  4. +WPA (Positive Win Probability Added): 경기 중 팀이 얻은 승리 확률의 총합
  5. RE24 (Run Expectancy based on 24 base-out states): 24개의 주자/아웃 상황을 기준으로 한 기대 득점 기여도
  6. REW (Run Expectancy Wins): 기대 득점에 기반한 승리 기여도
  7. pLI (Leverage Index): 경기 중 상황의 중요도 지수, 높은 값일수록 중요한 상황에서의 플레이를 나타냄
  8. phLI (Pinch Hit Leverage Index): 대타 상황의 중요도 지수
  9. PH (Pinch Hits): 대타로 나온 횟수
  10. WPA/LI: 경기의 중요도를 감안한 WPA, 상황의 중요도를 반영한 승리 기여도
  11. Clutch: 팀의 ‘클러치’ 능력, 높은 중요도 상황에서의 성과와 일반 성과의 차이

-WPA와 +WPA를 통해 팀이 경기를 얼마나 잘 제어하고 위기를 극복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WPA는 팀의 긍정적인 플레이 기여도를, 부정적인 WPA는 실패한 플레이를 나타냅니다.

RE24와 REW 지표를 통해 팀이 득점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득점 기회에서의 성과는 팀의 효율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pLI와 phLI를 통해 팀이 중요한 상황에서 얼마나 자주 플레이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대타가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팀의 전술적 의사결정을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PH와 phLI는 팀의 대타 사용 빈도와 대타가 나오는 상황의 중요도를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감독의 대타 운용 전략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Clutch’ 지표는 팀이 중요한 상황에서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는 접전 상황에서 어떤 팀이 더 뛰어난지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6. NPB 타격 Pitch Type 데이터

  1. PA (Plate Appearances): 타석 수, 팀이 기록한 총 타석 횟수
  2. FA% (Fastball Percentage): 빠른 공(패스트볼) 사용 비율
  3. FAv (Fastball Velocity): 패스트볼 평균 속도
  4. FT% (Two-seam Fastball Percentage): 투심 패스트볼 사용 비율
  5. FTv (Two-seam Fastball Velocity): 투심 패스트볼 평균 속도
  6. SL% (Slider Percentage): 슬라이더 사용 비율
  7. SLv (Slider Velocity): 슬라이더 평균 속도
  8. CT% (Cutter Percentage): 커터 사용 비율
  9. CTv (Cutter Velocity): 커터 평균 속도
  10. CB% (Curveball Percentage): 커브볼 사용 비율
  11. CBv (Curveball Velocity): 커브볼 평균 속도
  12. CH% (Changeup Percentage): 체인지업 사용 비율
  13. CHv (Changeup Velocity): 체인지업 평균 속도
  14. SF% (Split-finger Fastball Percentage): 스플리터 사용 비율
  15. SFv (Split-finger Fastball Velocity): 스플리터 평균 속도
  16. SI% (Sinker Percentage): 싱커 사용 비율
  17. SIv (Sinker Velocity): 싱커 평균 속도
  18. SP% (Splitter Percentage): 스플리터 사용 비율 (일부 데이터에서는 스플리터와 구분된 경우)
  19. SPv (Splitter Velocity): 스플리터 평균 속도
  20. XX% (Unidentified Pitch Percentage): 식별되지 않은 구종의 비율
  21. XXv (Unidentified Pitch Velocity): 식별되지 않은 구종의 평균 속도

팀의 투수 성향과 구종 활용 전략을 분석하는 데 유용

FA%, SL%, CT% 등 각 구종의 사용 비율은 팀이 어떤 투구 스타일을 선호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각 팀의 투수진이 어떤 전략을 주로 사용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FAv, SLv, CBv 등 각 구종의 평균 속도는 투수의 구위와 그 구종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높은 속도는 투수의 파워를 나타내며, 낮은 속도는 변화구의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타자들이 상대할 때 어떤 구종을 주로 대비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패스트볼 사용 비율이 높은 팀은 타자들이 빠른 공에 대비해야 하며, 슬라이더나 체인지업의 비율이 높다면 변화구에 대응해야 합니다.

여러 구종의 사용 비율과 속도를 통해 투수진의 다변성과 전략적 다양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구종을 사용하는 팀은 타자에게 혼란을 주어 효과적으로 경기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각 구종의 사용 비율과 속도는 팀이 투구 전략을 어떻게 설정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와 커터 비율이 높으면 타자들이 변화하는 구질에 대응하기 어렵게 만들어 투구의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7. NPB 타격 Pitch Value 데이터

  1. wFA (Weighted Fastball Runs): 패스트볼로 인한 팀의 총 기여 점수
  2. wFT (Weighted Two-seam Fastball Runs): 투심 패스트볼로 인한 팀의 총 기여 점수
  3. wSL (Weighted Slider Runs): 슬라이더로 인한 팀의 총 기여 점수
  4. wCT (Weighted Cutter Runs): 커터로 인한 팀의 총 기여 점수
  5. wCB (Weighted Curveball Runs): 커브볼로 인한 팀의 총 기여 점수
  6. wCH (Weighted Changeup Runs): 체인지업으로 인한 팀의 총 기여 점수
  7. wSF (Weighted Split-finger Fastball Runs): 스플리터로 인한 팀의 총 기여 점수
  8. wSI (Weighted Sinker Runs): 싱커로 인한 팀의 총 기여 점수
  9. wSP (Weighted Splitter Runs): 스플리터로 인한 팀의 총 기여 점수
  10. wFA/C (Weighted Fastball Runs per 100 Pitches): 100구당 패스트볼로 인한 팀의 기여 점수
  11. wFT/C (Weighted Two-seam Fastball Runs per 100 Pitches): 100구당 투심 패스트볼로 인한 팀의 기여 점수
  12. wSL/C (Weighted Slider Runs per 100 Pitches): 100구당 슬라이더로 인한 팀의 기여 점수
  13. wCT/C (Weighted Cutter Runs per 100 Pitches): 100구당 커터로 인한 팀의 기여 점수
  14. wCB/C (Weighted Curveball Runs per 100 Pitches): 100구당 커브볼로 인한 팀의 기여 점수
  15. wCH/C (Weighted Changeup Runs per 100 Pitches): 100구당 체인지업으로 인한 팀의 기여 점수
  16. wSF/C (Weighted Split-finger Fastball Runs per 100 Pitches): 100구당 스플리터로 인한 팀의 기여 점수
  17. wSI/C (Weighted Sinker Runs per 100 Pitches): 100구당 싱커로 인한 팀의 기여 점수
  18. wSP/C (Weighted Splitter Runs per 100 Pitches): 100구당 스플리터로 인한 팀의 기여 점수

특정 구종이 팀의 경기력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보여줌

wFA, wSL, wCB 등 구종별 기여 점수는 각 구종이 팀의 성과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팀의 투수들이 특정 구종으로 얼마나 효과적인 투구를 하고 있는지 분석할 수 있습니다.

wFA/C, wSL/C 등의 100구당 기여 점수는 특정 구종이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를 통해 투수진이 어떤 구종을 더 활용하거나 줄여야 하는지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각 구종별 점수는 투수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wCH가 높다면 체인지업이 강력한 무기임을 의미하며, wCT가 낮다면 커터 사용이 비효율적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wCH, wSF 등 지표는 덜 일반적인 구종의 사용 효과를 평가할 수 있게 해줍니다. 특정 구종의 사용이 성공적이라면, 해당 구종을 더 활용하거나 새로운 구종을 도입하는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8. NPB 타격 Pitch Tempo 데이터

  1. Pitches: 투구 수, 팀이 기록한 총 투구 수
  2. Tempo: 투구 간 평균 소요 시간(초)
  3. Tempo +/-: 리그 평균 대비 템포의 차이
  4. Timer Equiv.: 투구 템포를 시간으로 변환한 값
  5. Fast% (Fast Pitch Percentage): 빠른 투구 비율
  6. Slow% (Slow Pitch Percentage): 느린 투구 비율
  7. Pace: 투구 간의 평균 텀(휴식 시간 포함)
  8. Pitches (두 번째 열): 다른 상황에서의 팀의 총 투구 수
  9. Tempo (두 번째 열): 다른 상황에서의 투구 간 평균 소요 시간(초)
  10. Tempo +/- (두 번째 열): 리그 평균 대비 다른 상황에서의 템포 차이
  11. Timer Equiv. (두 번째 열): 다른 상황의 투구 템포를 시간으로 변환한 값
  12. Fast% (두 번째 열): 다른 상황에서의 빠른 투구 비율
  13. Slow% (두 번째 열): 다른 상황에서의 느린 투구 비율
  14. Pace (두 번째 열): 다른 상황에서 투구 간의 평균 텀(휴식 시간 포함)

TempoPace는 투수의 투구 간 소요 시간을 측정하여 투수의 경기 리듬과 속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투구 리듬은 타자의 반응 시간과 투구의 예측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합니다.

Fast%Slow%는 투수가 얼마나 자주 빠르고 느린 투구를 하는지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투수의 구종 전략과 경기 운영 방식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투구 속도는 타자의 타이밍을 방해하고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Pace는 투구 간 휴식 시간의 평균을 보여줍니다. 긴 Pace는 투수가 충분한 회복 시간을 가져 체력을 관리할 수 있지만, 너무 길면 타자나 경기 흐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Tempo +/-는 팀의 투구 템포가 리그 평균보다 빠른지 느린지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특정 팀이 빠른 경기 운영을 선호하는지, 아니면 더 신중하게 경기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Pitches, Tempo, Fast%, Slow% 등의 두 번째 열 데이터는 특정 상황에서의 투구 전략을 분석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팀이 특정 상황(예: 주자가 있는 상황 등)에서 어떻게 투구 전략을 조정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9. NPB 타격 Plate Discipling 데이터

  1. O-Swing% (Outside Swing Percentage): 스트라이크존 바깥의 공에 스윙한 비율
  2. Z-Swing% (Zone Swing Percentage): 스트라이크존 안의 공에 스윙한 비율
  3. Swing% (Total Swing Percentage): 모든 투구에 대해 스윙한 비율
  4. O-Contact% (Outside Contact Percentage): 스트라이크존 바깥의 공에 스윙했을 때 맞춘 비율
  5. Z-Contact% (Zone Contact Percentage): 스트라이크존 안의 공에 스윙했을 때 맞춘 비율
  6. Contact% (Total Contact Percentage): 모든 스윙에 대한 컨택트 비율
  7. Zone% (Zone Percentage): 투수가 스트라이크존에 던진 투구의 비율
  8. F-Strike% (First Pitch Strike Percentage): 첫 번째 투구가 스트라이크였던 비율
  9. Whiff% (Whiff Percentage): 헛스윙 비율, 타자가 스윙했지만 공을 맞추지 못한 비율
  10. Put Away% (Put Away Percentage): 타자를 삼진으로 처리한 비율
  11. SwStr% (Swinging Strike Percentage): 전체 투구 중 헛스윙 비율
  12. CStr% (Called Strike Percentage): 스트라이크로 선언된 공의 비율 (타자가 스윙하지 않고 판정된 스트라이크)
  13. CSW% (Called + Swinging Strikes Percentage): 판정된 스트라이크와 헛스윙을 합친 비율로, 투수의 지배력과 제구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타자와 투수의 대결에서 투수의 성과와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

O-Swing%, Z-Swing%, Zone% 등의 지표는 투수가 어떤 방식으로 타자를 공략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O-Swing%이 높다면 투수가 스트라이크존 바깥으로 공을 던져 타자의 헛스윙을 유도하는 전략을 자주 사용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Swing%, O-Contact%, Z-Contact%는 타자가 투구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지표는 타자의 공격 성향과 선구안 평가에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Whiff%, Put Away%, SwStr%는 투수가 타자로부터 헛스윙을 얼마나 자주 유도하며 삼진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처리하는지를 평가합니다. 이는 투수의 결정구나 타자의 헛스윙을 유도하는 능력에 대한 지표입니다.

CStr%CSW%는 투수의 제구력과 경기 지배력을 측정합니다. CSW%는 헛스윙과 판정된 스트라이크를 결합하여 투수의 지배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Whiff%Put Away%가 높은 투수는 타자를 삼진으로 처리하는 능력이 뛰어나므로, 이에 대비한 타격 전략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Z-Contact%O-Contact%를 통해 타자가 존 안팎에서 얼마나 잘 맞추는지를 분석하여 투수는 공의 위치와 구종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수의 전략 수정과 타자의 대비 훈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F-Strike%는 투수가 첫 번째 투구에서 스트라이크를 얼마나 자주 던지는지를 보여줍니다. 첫 투구 스트라이크는 투수에게 유리한 카운트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10. NPB 타격 Value 데이터

  1. Batting: 타격 기여도, 타자의 타격 능력에 따른 득점 기여도
  2. Base Running: 주루 기여도, 주루 플레이가 팀 득점에 기여한 정도
  3. Fielding: 수비 기여도, 수비에서 팀에 기여한 점수
  4. Positional: 포지션 조정 기여도, 특정 포지션의 수비 난이도에 따른 보정 점수
  5. Offense: 공격 기여도, 타격과 주루 기여도를 합산한 공격적인 기여 점수
  6. Defense: 방어 기여도, 수비 기여도와 포지션 조정 기여도의 합산
  7. Replacement: 대체 선수 대비 기여 점수, 리그 평균 수준의 대체 선수 대비 기여도
  8. RAR (Runs Above Replacement): 대체 선수 대비 득점 기여도, 팀의 승리에 얼마나 많은 추가 득점을 기여했는지
  9. WAR (Wins Above Replacement): 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 팀의 승리에 기여한 정도를 나타내는 종합적인 지표

선수의 전반적인 경기 기여도를 평가하고, 타격, 주루, 수비 등 각 영역에서 팀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데 사용

WAR는 선수의 전반적인 경기 기여도를 대체 선수와 비교해 나타내며, 팀에 얼마나 많은 승리를 추가로 가져다주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는 선수의 가치와 팀 내 중요도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BattingOffense 지표는 타자가 팀의 공격력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보여줍니다. 타자의 타격 능력과 주루 능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공격적인 기여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FieldingDefense는 선수의 수비 기여도를 나타내며, 포지션에 따른 난이도를 반영한 Positional 지표와 결합해 선수의 수비 성과를 더욱 정확히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팀의 수비 전략을 최적화하고 선수의 수비 위치를 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Base Running은 선수가 주루에서 팀의 득점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측정하여, 단순히 타격뿐 아니라 경기 중 주루의 중요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OffenseDefense 지표를 비교하여 선수가 공격적인지, 수비에 더 강한지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팀은 선수의 장점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ReplacementRAR 지표는 특정 선수가 리그 평균 수준의 대체 선수에 비해 얼마나 더 뛰어난지를 보여줍니다. 이는 팀의 선수 구성과 스카우트, 계약 결정에 있어서 중요한 데이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