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트렌드 계속 배워야하는 이유 무엇일까요?
중년이 되면 빠르게 변해가는 흐름을 따라잡기가 힘이듭니다.
특히 IT 관련해서 왜 이슈가 되는지, 무엇에 어떻게 쓰이는지 잘 모르시는 경우가 있으실 겁니다. 그래서 IT 트렌드 배워야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공유 드리겠습니다.
IT 트렌드 관련하여 왜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나?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관련 주식으로 돈을 벌려고 하는 사람들.
내가 사용하기 위해서 살펴보는 사람들.
내 일과 연관이 되는지 알아보기 위한 사람들.
그 외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내 서비스 또는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IT 트렌드를 유심히 보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내가 벌어들일 수 있는 돈과 연관이 밀접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 이야기가 무엇이냐면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사람이 몰릴듯한 것이 있는가?
- 있다면 내가 사용할 만한 것인가?
- 사람들 모으기가 편한가?
- 내 서비스 제품을 홍보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가?
이해가 안가시죠?
예를 들어 제가 클럽하우스 | 메타버스 관련해서 글을 썼는데,
이러한 새로운 IT 서비스들이 나에게 어떤 도움을 주는지 보겠습니다.
- 사람을 쉽게 모을 수 있다. 새로운 장르이다보니, 경쟁이 치열하지 않고, 빠르게 적응한 사람들이 더 빠르게 사람을 모을 수 있다.
- 이렇게 모인 사람들에게 재미를 주지만, 내 정보에는 내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정보를 넣을 수 있다.
- 이러한 매체들은 과거의 신문 TV와 같은 사람을 모을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나는 사람을 모으면서 간접적으로 내 서비스나 제품을 홍보할 수 있다.
- 사람이 많이 몰리는 곳에서는 홍보가 잘된다. 그리고 새로 오픈한 곳은 경쟁도 심하지 않다.
누가 들어가냐고요?
직접해보시면 아실 것입니다.
소비자들은 각자의 취향이 다르기 때문에,
통계를 낼 수 없습니다.
하지만 연령별 좋아하는 콘텐츠를 만들어 이러한 부분을 유도를 할 수가 있습니다.
과거에 드라마의 PPL이나 뉴스 시간대에 따라 광고 단가가 틀렸습니다.
요새는 유튜브로 사람이 많이 몰리는 채널별 광고 단가가 틀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튜버들은 재미있는 콘텐츠를 많이 만들고,
구독자를 늘릴려고 하는 것입니다.
Advertisment
이러한 구독자가 끝까지 채널을 봐주고,
그 채널의 다른 영상을 보게되면,
광고단가가 오르게 되어 있는 시스템입니다.
(더 복잡한 원리이지만 간단하게 설명드린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들은
사람을 모으기 위해 이것저것 연구를 하고,
연령별, 성별에 따른 콘텐츠를 분리하여,
영상을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는 콘텐츠가 재미있어서 들어가지만,
이러한 콘테츠의 재미에 따라
광고 단가가 틀려지기 때문에
콘텐츠 제작하는 사람들은 매일 재미있는 영상을 위해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독자들은 소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원동력이기 때문이지요.
‘ 사람 = 수익 ‘
돈이 안될 것 같다고요?? No!!
아뇨~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몰리느냐에 따라 굉장히 큰 돈이 들어옵니다.
과거의 매출 방식으로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내가 파는게 없으니 수익이 없을것이다.
광고 한개당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주고,
끝까지 봐주느냐에 따라 광고단가는 틀려집니다.
그리고 광고만으로 수익을 내는 것이 아닙니다.
관련 콘텐츠를 이용하여 브랜드 홍보도 가능합니다.
유튜버 같은 경우 수익구조가
광고, 브랜드 마케팅, 후원, 강의, 서비스 등
여러가지 수익구조가 나올 수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수익구조도 잘 파악해보시면,
지금 하시는 일과도 매칭을 하실 수가 있으십니다.
구독자 500명에게 후원금 한달 3만원씩 받는다면…
한달 1,500만원 수익 + 광고수익 @ 가 날 수 있습니다.
알기 어려운 수익구조
가장 재미있는 부분들 새로운 IT 트렌드 제품들의 수익구조입니다.
카카오톡 수익구조가 어떻게 되시는지 아시는 분 계시나요?
단순히 광고 수익이 아닙니다.
당근 마켓 역시 어떻게 되시는지 아시나요?
중고 거래의 차익으로 수익을 얻는 것이 아닙니다.
이들은 플랫폼의 사람들을 모으고,
광고, 그리고 다른 서비스를 유도하여 수익을 올립니다.
최근에 나오는 플랫폼들은 수익구조가
내가 하고 있는 서비스에서 수익을 올리는 구조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수익구조를 자세하게 보는 것도,
앞으로 변환되는 시장에 재미있는 시선으로 보실 수가 있습니다.
IT 변화는 시장의 변화와 연관 있습니다.
IT는 사람이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서비스 입니다.
하지만 최근에 없어서 안될 서비스가 되었죠.
사용을 안하게되면, 경쟁에서 밀리게 되니깐요.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서비스에는 반드시 사람이 몰리고,
이렇게 사람이 몰린 서비스에서는 광고 홍보를 하게 되면 효과가 크게됩니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네이버 검색이 한국인의 70%이상이 사용을 하였을 때,
네이버에서 광고를 하면 매출이 잘 나왔지만,
이제는 네이버 검색 사용이 50%대로 줄면서,
구글 유튜브 SNS 등과 같은 여러매체를 연구하고,
사람이 많이 사용하는 곳을 찾아내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IT 트렌드 관심을 가져보세요.
관심을 가져보세요.
자산을 늘리시려고 하시는 분들은
조금더 객관적으로 투자를 하실 수가 있으며,
사업을 하시는 분들은
과거의 방식이 아닌 적은 비용에
고효율 마케팅 방법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과거의 방법을 고수하시면 안됩니다.
변하지 않는 것은 이러한 행위는 여전히 사람이 결정으로
소비와 매출이 일어나지만,
사람의 결정에 도움을 주는 방법이
과거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 소비형태가 일어나는 것이 아닌,
여러가지 매체 서비스를 통해 일어난다는 것을 캐치하셔야 합니다.
과거에는 반드시 얼굴을 보고 결정을 하던 것이,
이제는 이 만남을 IT 서비스로 대처를 하게되는 세상이 온것입니다.